05, 넌페이셜 포트레이트, 2018-계속, 얼굴인식 알고리즘, 카메라, 컴퓨터, 모니터, 캔버스, 스마트폰, 테이블, 나무패널, 가변설치.
화가들을 초대하여 한 인물의 초상화를 그리게 하였다. 화가들은 다음의 조건을 따라야 했다.
"인공지능은 완성된 초상화에서 얼굴을 찾을 수 없어야 한다."
화가가 그림을 그리는 동안 카메라는 그림을 지켜보고 얼굴검출* 여부를 모니터에 표시해 준다. 화가는 이를 참고하며 인공지능에 의해 얼굴인식이 되지 않는 초상화를 그려 나간다. 이것은 쉽지 않다. 초상화를 인물과 가깝게 그리면 쉽게 얼굴인식이 될 것이고, 얼굴인식이 되지 않게 할수록 그림은 대상에서 멀어져 초상화라고 하기 어려워질 테니까. 인공지능은 얼굴로 인식하지 못하지만 인간은 그 대상이라고 여길 수 있는, 인간만의 시각적 영역을 찾아야 한다.
화가들이 저마다의 방법으로 완성한 초상화와 그 과정이 기록된 영상, 그리고 화가의 작업대 모형이 함께 전시된다.
* OpenCV Face Detection, Dlib Face Detection and Joint Cascade Face Detection and Alignment.
-
넌페이셜 포트레이트 (기록영상), 2018-계속.
-
00, 넌페이셜 포트레이트, 2018-계속.
-
01, 넌페이셜 포트레이트, 2018-계속.
-
02, 넌페이셜 포트레이트, 2018-계속.
-
03, 넌페이셜 포트레이트, 2018-계속.
-
04, 넌페이셜 포트레이트, 2018-계속.
-
06, 넌페이셜 포트레이트, 2018-계속.
-
07, 넌페이셜 포트레이트, 2018-계속.
-
08, 넌페이셜 포트레이트, 2018-계속.
-
09, 넌페이셜 포트레이트, 2018-계속.
-
넌페이셜 포트레이트 (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설치전경, 2018), 2018-계속, 얼굴인식 알고리즘, 카메라, 컴퓨터, 모니터, 캔버스, 스마트폰, 테이블, 나무패널, 600 x 600 x 240 cm.
-
넌페이셜 포트레이트 (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설치전경, 2018), 2018-계속, 얼굴인식 알고리즘, 카메라, 컴퓨터, 모니터, 캔버스, 스마트폰, 테이블, 나무패널, 600 x 600 x 240 cm.
-
넌페이셜 포트레이트 (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설치전경, 2018), 2018-계속, 얼굴인식 알고리즘, 카메라, 컴퓨터, 모니터, 캔버스, 스마트폰, 테이블, 나무패널, 600 x 600 x 240 cm.
-
넌페이셜 포트레이트 (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설치전경, 2018), 2018-계속, 얼굴인식 알고리즘, 카메라, 컴퓨터, 모니터, 캔버스, 스마트폰, 테이블, 나무패널, 600 x 600 x 240 cm.
-
넌페이셜 포트레이트 (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설치전경, 2018), 2018-계속, 얼굴인식 알고리즘, 카메라, 컴퓨터, 모니터, 캔버스, 스마트폰, 테이블, 나무패널, 600 x 600 x 240 cm.
참여 화가:
이윤상, 장우주, 안광휘, 윤미류, 김윤정, 홍혜인, 조유정, 이현경, 김대유, 이신아.
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18 커미션